본문 바로가기
배이야기

구명뗏목_ HRU와 Weak Link

by 우아한 항해 2022. 6. 7.
반응형

1.  구명뗏목을 통한 퇴선

 "본선에서 가장 많이 시행되는 훈련이 무엇인가요?"라고 물어본다면 아마 소화훈련이나 퇴선 훈련이라고 대답을 할 것입니다. 퇴선 훈련 시 구명뗏목(LIFERAFT)에 대해서 진지하게 생각해 보지 않은 분들도 계실 것입니다. 대부분 구명정(LIFEBOAT)에 대해서는 잘 알고 계시지만 구명뗏목에 대해서는 잘 생각하지 않은 경향이 있습니다. 하지만 구명뗏목도 구명정만큼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선박이 빠르게 침몰하여 구명정을 미처 준비하지 못한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선박이 심하게 한쪽 현으로 기울어서 구명정을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런 경우에 선원들이 살아갈 수 있게 도와주는 것이 바로 구명뗏목입니다. 오늘부터라도 구명정뿐만 아니라 구명뗏목에도 관심을 가져주시길 바랍니다. 

2. 구명뗏목의 진수

The life raft on board ship are released or launched into the water by three different methods

1) Auto release with Hydrostatic Release Unit(HRU)

2) Manually launching

3) Launching by Davits 

 구명뗏목은 일반적으로 양현에 각각 두 개씩 배치되어 있고, 선수 쪽에서 일하는 사람들을 위해 비교적 크기가 작은 구명뗏목이 하나 배치되어 있습니다. 진수시키는 방법은 3가지가 있습니다. 선박이 침몰 시 자동으로 진수되는 방식이 있습니다. 이때는 HRU를 통해 구명뗏목이 펼쳐지는 것입니다. 반면에 시간적으로 여유가 된다면 선원이 직접 하거나 크레인을 이용하는 수동으로 진수시키는 방법이 있습니다.  참고로 선수 쪽에 있는 구명뗏목은 HRU가 없어서 직접 작동해야 된다는 점에서 양현에 잇는 구명뗏목과 차이가 있습니다. 

 오늘은 배가 침몰 시 자동으로 작동되는 시스템인 HRU와 Weak Link에 대해서 설명을 드리려고 합니다. 자동으로 작동되는 방식을 잘 이해하시면 수동으로 하는 것은 쉽게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구명뗏목에 있는 HRU와 Weak Link

 구명뗏목을 바다에 떨어지지 않게 하기 위해 단순히 고박만 한다면 안됩니다. 그렇게 된다면 비상시에 자동으로 펼쳐지지 않습니다. 물론 시간적 여유가 있다면 선원들이 직접 진수를 시키고 사용할 수도 있지만 선박에서 비상 상황 시 직접 진수시키는 것은 어렵다고 볼 수 있습니다. 줄로 꽁꽁 묶어서 예쁘게 장식해준 정도에 불가합니다. 사람의 조력 없이 비상시에 바로 사용할 수 있게 도와주는 장치가 "Hydrostatic Release Unit""Weak Link"입니다. 

 사전을 찾아보면  Hydrostatic은 '정역학적인, 정수의'라고 나옵니다. 물리학을 잘 아시는 분은 이해를 하시겠지만 저를 포함한 많은 사람들은 Hydrostic Pressures를 수압으로 이해하는 것이 좋습니다. 미리 세팅해 둔 수압이 HRU에 가해지면 Release 해준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3. Hydrostatic Release Unit과 Weak Link

 선박이 침몰하게 되면 고발되어 있는 구명뗏목도 같이 가라앉게 됩니다. 선박이 4~5m 정도 가라앉았을 때 HRU안에 내장되어 있는 칼이 고박하고 있는 줄을 자르게 됩니다. 자연스럽게 구명뗏목은 물 위로 떠오르게 됩니다. 하지만 아직까지 구명뗏목과 침몰하고 있는 선박은 Painter에 의해 연결이 되어있습니다. 선박이 점점 가라앉을수록 선박과 구명뗏목 사이의 장력은 커지게 됩니다. 충분한 힘이 가해질 경우 구명뗏목 안에 있는 이산화탄소가 터지면서 자동으로 펼쳐지게 됩니다. 마지막으로 펼쳐진 구명뗏목에서 발생하는 부력으로 인해 Weak Link가 침몰선박으로부터 분리되고 구명뗏목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됩니다. 제가 한 번 더 정리를 하겠습니다.

1. 선박이 침몰 시 구명뗏목의 HRU 안에 내장되어 있는 칼이 줄을 자른다.

2. 구명뗏목이 떠오르면서 Painter의 장력에 의해서 자동으로 펼쳐진다.

3. Weak Link가 분리되면서 구명뗏목의 역할을 수행한다. 

 지금까지 이해를 하셨다면 수동으로 진수하는 방법은 쉽게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수동으로 진수를 하는 경우에는 딱 한 가지 포인트만 기억하시면 되겠습니다. Painter를 통해 압력을 가하여 구명뗏목이 펼쳐지게 한다. 구명뗏목이 무게가 있으므로 꼭 2인 1조로 하여 수면 위에 조심스럽게 내려주시면 됩니다. 그때 주의할 점이 다른 선원이 Painter를 잡고 계시거나 선박구조물에 단단하게 묶어두시면 됩니다. 물 위에 구명뗏목이 안전하게 내려두신 후에 Painter를 잡아당겨 압력을 가하시면 구명뗏목이 자동으로 펼쳐지고 필요에 따라서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크레인을 통해 진수하는 방법은 사람의 힘이 아닌 크레인을 이용하는 점만 다르고 기본원리는 똑같이 생각하시면 됩니다. 실제로 선박에서 이용할 일이 없는 것이 가장 좋겠지만 혹시 모를 비상상황에 대비하여 평소에 미리 준비하는 습관을 들이시면 좋을 거 같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