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해류의 흐름에 대한 이해
지난 시간에 언급했던 해류에 대해 다시 생각해봅시다. 시간에 따라 속력과 방향이 바뀌는 조류와는 다르게 일정한 방향의 흐름이 있는 것이 해류라고 말씀드렸습니다. 우리가 가장 잘 알고 있는 쿠로시오 해류, 겨울철 기온에 영향을 주는 쿠릴 해류, 태평양을 가로질러 동쪽으로 이동하는 북태평양 해류, 그와 반면에 서쪽으로 이동하는 북적도 해류가 있습니다. 이 외에도 많은 해류가 있습니다. 방향과 특징이 모두 다릅니다. 차가운 한류와 따뜻한 난류, 해류의 방향이 동쪽인 북태평양 해류와 반대방향인 북적도 해류가 있습니다. 사람의 심장에서 온몸으로 피가 흘러 결국 다시 돌아와 심장으로 들어오는 것처럼 해류도 여러 방향에서 순환을 하고 있습니다. 해류를 큰 흐름으로 본다면 북반구 기준 시계방향으로 흐르고, 남반구 기준은 반시계 방향의 흐름이 있습니다. 우리 몸의 어느 한 부분에서 혈액이 제대로 흐르지 않는다면 손발이 저리거나 부종이 일어나는 것처럼 해류의 흐름에서도 어느 부분에 문제가 생긴다면 이상 기후 증상이 나타납니다. 이상 기후를 설명드리기 앞서 해류에 종류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드리겠습니다. 무역풍이나 편서풍 등 바람에 의해서 생기는 해류를 취송류라고 합니다. 취송류가 해류의 수평방향의 흐름이라면 수직방향이 흐름도 존재하는데 이와 같은 흐름을 용승류 혹은 침강류라고 합니다. 앞으로 설명드릴 엘니뇨 현상과 라니냐 현상은 용승류의 순환에 문제에 초점을 두시면 되겠습니다.
2. 엘니뇨 현상
엘니뇨란 남아메리카의 에콰도르와 페루의 앞바다에서 일어나는 비정상적인 해면 수온 상승 현상을 의미합니다. 참고로 크리스마스를 전후로 해 나타나므로 아기 예수를 의미하기도 합니다.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위도 20도 내외 지역에서 1년 내내 부는 무역풍이 어떤 원인으로 약해지게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경우 편동풍에 의해 이동하는 북적도 해류와 남적도 해류는 흐름이 약해지게 됩니다. 그에 따라 태평양 동부에서 용승류가 감소하게 됩니다. 이는 단순하게 해류의 속도가 느려지는 것이 아닙니다. 해류는 차가운 성질을 가진 한류와 따뜻한 성질을 가지고 있는 난류가 있습니다. 적도 해류가 흐르게 되면 상대적으로 온도가 오르게 되고, 심해에서부터 흐르는 용승류가 흐르게 되면 상대적으로 온도가 내려가게 됩니다. 따라서 무역풍이 약해지면 결과적으로 용승류의 감소를 일으키게 됩니다. 용승류가 감소하게 되면 평년과 비교했을 때 온도가 올라가게 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피해를 입게 됩니다.
1) 서태평양 인근에 내리는 비의 양을 줄어들게 하여 가뭄 현상이 나타납니다.
2) 동태평양 인근에 상승기류의 증가로 비가 증가하게 됩니다.
3) 용승류의 약화로 어획량이 감소하게 됩니다.
3. 라니냐 현상
라니냐란 동부 태평양 전역에 차가운 물이 존재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참고로 엘니뇨와 반대로 여자 아이란 의미가 있습니다. 라니냐 현상은 어떤 원인으로 인해서 무역풍이 강하게 되는 경우에 의해서 생기게 됩니다. 따라서 북적도 해류와 남적도 해류의 흐름이 강해지게 됩니다. 이 때는 태평양 동부의 용승류가 상승하게 되는데, 차가운 성질을 가진 한류의 흐름이 증가하게 되는 것입니다. 심층수가 표층에 올라오게 되므로 동태평양에 저수온 현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정리를 하면 라니냐 현상에 의해서 다음과 같은 피해를 입게 됩니다.
1) 서태평양 인근에는 강수량이 증가하여 홍수가 날 수 있습니다.
2) 동태평양 인근에는 강수량이 감소하여 가뭄 현상이 나타납니다.
크리스마스 전후로 나타나는 엘니뇨 현상과 다르게 라니냐 현상은 여름에 나타나기도 하고 겨울에 나타나기도 합니다. 여름철에 일어나는 경우 호주 북동지역은 고온현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인도는 폭우가 올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합니다. 겨울철에 발생하는 경우 여름철보다 기후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동남아시아와 북부지방에는 평년보다 강수량이 늘고 미국 서부와 캐나다 서해안 지역은 기온이 떨어지면서 한파가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고 합니다.
오늘 말씀드린 내용을 정리하면 인체와 같이 해류는 순환을 하는데 순환과정에서 문제가 생기면 엘니뇨 현상이나 라니냐 현상이 나타납니다. 차가운 심해층의 용승류의 이동을 생각하면서 아래 그림을 참고하시면 이해하시는 데 도움이 되실 것입니다. 오늘도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배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박의 6가지 움직임 왕복 운동과 회전 운동 (0) | 2022.07.22 |
---|---|
소방원 장비의 구성과 근거가 되는 규정 (0) | 2022.06.24 |
항해 중 발생하는 외력과 그에 대한 영향! (0) | 2022.06.22 |
이등항해사의 연안 항해 계획의 수립! (0) | 2022.06.21 |
중량 톤수와 용적 톤수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2.06.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