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방위 표지에 대한 이해
국제 해상 부표 방식 중에 측방 표지와 더불어 가장 중요한 표지가 방위 표지입니다. 측방 표지는 표지가 설치된 곳이 위험해서 항해를 할 수 없고, 반대쪽에 항해를 할 수 있는 가항 수역이 있다는 의미였습니다. 방위 표지 또한 같은 방식으로 이해를 하시면 됩니다. 방위 표지를 발견하시면 가리키는 방향의 뒤쪽에는 위험해서 항해를 할 수 없고, 반대쪽에 가항 수역이 있다는 뜻입니다. 예를 들어 북방위 표지가 있다면 표지의 뒤쪽인 남쪽에는 위험물이 있거나 항해를 할 수 없는 수역이고, 반면에 북방위 표지의 앞쪽인 북쪽에는 가항 수역이 있다는 뜻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아래의 그림에서 위험물의 위치를 잘 보시고 이해해 주시면 되겠습니다.
위험물의 위치를 파악하셨으면 이제 방위 표지의 종류와 의미에 대해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방위 표지를 확인하셨을 때 다음과 같은 생각을 하셔야 됩니다.
첫째. 표지가 가리키는 쪽에 가항 수역이 있습니다.
둘째. 표지의 반대쪽에 암초, 침선 등의 장애물이 있습니다.
셋째. 표지가 가리키는 쪽에 출입구, 분기점 혹은 합류점 등이 있습니다.
따라서 측방 표지를 보시면 가항 수역과 위험수역을 구분 짓고 항해를 할 수 있어야 됩니다. 측방 표지는 나라와 관계없이 통일되어있기 때문에 위의 그림만 참고하여 장애물의 위치만 기억해주시면 되겠습니다.
2. 방위 표지의 종류
1) 등질의 이해
방위 표지는 기본적으로 표체와 두표를 검은색과 노란색으로 표현을 합니다. 그리고 등색은 측방 표지와 다르게 백색을 사용합니다. 모양과 색이 일정하여 기억하기 쉬운 측방 표지에 비해 방위 표지는 모양과 색이 방위에 따라 다르므로 잘 구분하셔야 합니다. 벽에 걸려있는 아날로그시계를 떠올리고 3시, 6시, 9시, 12시를 찾아봅니다. 그리고 앞으로 동쪽을 3시, 남쪽을 6시, 서쪽을 9시, 북쪽을 12시라고 생각을 합니다. 이렇게 말씀드리는 이유는 방위 표지 또한 등이 추가되어 있어 야간 표지로 사용이 되는데, 등질을 통해 어떤 표지인지 구분을 하기 때문입니다. 동쪽은 3시라고 말씀드렸습니다. 등질은 매 10초마다 3번의 급섬광등을 사용합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남쪽은 6번의 급섬광등을 사용하고, 서쪽은 9번의 급섬광등을 사용합니다. 북쪽은 12번의 급섬광등이 아닌 연속적인 급섬광등을 사용합니다.
2) 표체와 두표의 이해
측방 표지는 녹색과 홍색을 사용하였다면 방위 표지는 흑색과 황색을 사용합니다. 검은색과 노란색을 사용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측방 표지는 두표를 원통형과 원추형을 사용하는데, 방위 표지는 두표를 원추형만 사용합니다. 하지만 원추형을 어떤 방향으로 쓰는지에 따라 방위 표지의 위치가 달라지게 됩니다. 모든 표지는 원추형을 2개 사용하는데, 방위에 따라 각각 다른 방향으로 사용합니다. 등질과 같이 동방위표지부터 시작해서 시계 방향으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동방위 표지는 원추 2개를 뾰족한 부분이 바깥쪽으로 향하게 합니다. 뾰족한 부분을 화살표 방향이라고 생각을 하면 동방위 표지는 양쪽으로 멀어지는 모양을 뛰게 됩니다. 남방위 표지는 원추형 2개 모두 뾰족한 부분이 아래쪽으로 향하게 됩니다. 서방위 표지는 뾰족한 부분이 안쪽으로 향하게 합니다. 모래시계와 비슷한 형상을 띄고 있습니다. 북방위 표지는 원추형 2개 모두 뾰족한 부분이 위쪽으로 향하게 됩니다. 위의 그림을 꼭 참고하셔서 글을 읽으시면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표체에 대해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앞서 말씀드린 두표의 형상에서 뾰족한 부분을 흑색과 연관을 시켜주시면 됩니다. 동방위 표지부터 확인을 하면 원추형 2개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이었습니다. 따라서 표체의 색상도 흑색이 멀어지면 됩니다. 남쪽은 원추형이 아래 방향을 가리키고 있으므로 표체는 아래쪽이 흑색입니다. 서쪽은 원추형이 중간으로 모이는 형태이므로 표체의 색상도 중간 부분이 흑색입니다. 북쪽의 두표는 위로 향하고, 표체는 위쪽이 흑색입니다.
종류 | 의미 | 표체 도색 | 두표의 형상 (원추형 2개) |
등질 |
동방위표지 | 1. 표지의 동쪽에 가항수역이 있습니다. 2. 표지의 서쪽에 암초, 침선 등 장애물이 있습니다. 3. 표지의 동쪽에 항로의 출입구, 분기점이 있습니다. |
흑색 황색 흑색 |
위아래로 벌어지는 형태 |
군급섬광등 Q(3) 10s |
남방위표지 | 1. 표지의 남쪽에 가항수역이 있습니다. 2. 표지의 북쪽에 암초, 침선 등 장애물이 있습니다. 3. 표지의 남쪽에 항로의 출입구, 분기점이 있습니다. |
황색 흑색 |
모두 아래방향 | 군급섬광등 Q(6) + LFI 15s |
서방위표지 | 1. 표지의 서쪽에 가항수역이 있습니다. 2. 표지의 동쪽에 암초, 침선 등 장애물이 있습니다. 3. 표지의 서쪽에 항로의 출입구, 분기점이 있습니다. |
황색 흑색 황색 |
중간으로 모이는 형태 |
군급섬광등 Q(9) 15s |
북방위표지 | 1. 표지의 북쪽에 가항수역이 있습니다. 2. 표지의 남쪽에 암초, 침선 등 장애물이 있습니다. 3. 표지의 북쪽에 항로의 출입구, 분기점이 있습니다. |
흑색 황색 |
모두 위방향 | 연속급섬광등 Q |
3) 총정리
측방 표지나 방위 표지 모두 한 가지 기준점을 두고 이해를 하시면 기억하기가 쉽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아날로그시계의 시간과 방위를 연결해봤습니다. 3시를 기점으로 하여 6시, 9시, 12까지 확인하시면 됩니다. 다시 한번 설명을 드리면 3시는 3회의 급섬광등, 6시는 6회의 급섬광등, 9시는 9회의 급섬광등을 사용합니다. 12시만 예외로 12번이 아닌 연속적인 급섬광등을 사용합니다. 두표의 형태를 먼저 기억하고 두표의 뾰족한 부분이 표체의 색상 중 흑색으로 표현된다고 말씀드렸습니다. 동방위는 위아래로 멀어지는 형태이고, 표체는 양 끝이 흑색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남방위는 모두 아래방향을 가리키고 표체의 아랫부분이 흑색입니다. 서방위는 원추형이 중앙으로 모이는 형태이고, 표체는 중앙이 흑색입니다. 마지막으로 북방위는 원추형이 모두 위로 향하고 있고, 표체의 윗부분이 흑색입니다. 여러분이 입항을 할 때 제 글이 도움이 되길 바라며 항상 안전한 항해 하시길 바라겠습니다. 오늘도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배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박 개념 다지기, 선박 구조에 관한 용어 기초편! (0) | 2022.06.16 |
---|---|
선박 크기를 나타내는 주요 치수의 종류! (0) | 2022.06.15 |
IALA 지역에 따른 측방표지의 구분 (0) | 2022.06.14 |
낮에 사용되는 주간표지와 음향표지의 종류 (0) | 2022.06.13 |
탱커선의 위험 요소, 가스 농도를 나타내는 방식! (0) | 2022.06.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