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분도 아시는 것과 같이 선박의 구조는 다양하고 복잡한 구조물입니다. 그와 동시에 선박의 크기 또한 다양한 방식으로 로 표현이 됩니다. 선주의 입장에서 생각을 하면 조금 더 많은 화물을 적재하여 경제적 이윤을 추구하기 때문에 가능한 한 치수를 작게 표현하여 세금을 적게 내기를 원합니다. 반면 선박 관련 관청의 경우에는 가능한 큰 값을 추구하여, 세금을 많이 부과하기를 원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다양한 치수가 존재하게 되었습니다. 여러분 중에 파나마 운하를 통과하신 분이 있을 것입니다. 파나마 톤수를 따로 만들어 통과세를 부과하기도 합니다. 다양한 이유에서 복잡하지만 다양한 치수가 존재하는 이유입니다.
1. 선박의 주요 치수, 길이
우리가 가장 체감하기 쉽고 접하기 좋은 단위가 "m"입니다. 예를 들어 자동차 내비게이션에서 거리를 표현할 때도 미터 단위를 사용합니다. 우리에게 친숙한 만큼 이해하기 쉬운 선박의 길이를 나타내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승선을 하신 분이면 "LOA"와 "LBP"는 익숙하실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선박의 전체 길이를 나타내는 Length Over All과 Length Between Perpendicular에 대한 내용은 잘 아실 것입니다. 잘 알고 계신 분들도 이번 기회를 통해 저와 함께 더욱 자세히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1) 전체길이
선박 앞쪽에 가장 뾰족한 부분부터 가장 뒤쪽까지의 거리를 의미합니다. 선박에서 측정할 수 있는 가장 긴 거리를 의미합니다. 영어로는 Length Over All을 줄여서 LOA라고 표현이 됩니다. 최대 크기로 나타내므로 접안 작업을 할 때 알고 있으면 유용합니다.
2) 수선간 길이
선수 수선과 선미 수선 사이의 거리를 의미합니다. 선수 수선(Fore Perpendicular)이란 선수재의 전면에서 내린 수직선을 의미하고, 선미 수선(After Perpendicular)이란 타두재의 중심선과 만재흘수선이 만나는 점에서 세운 수직선을 의미합니다. 선박의 크기를 비교하거나 각종 계산을 하는 데 사용을 합니다. 영어로는 length Between Perpendiculars를 줄여서 LBP라고 표현이 됩니다.
3) 수선 길이
수선 길이는 만재흘수선 상 선수 앞에서 선미 끝까지의 거리를 의미합니다. 영어로는 Water Line Length를 줄여서 Lw라고 표현됩니다.
4) 등록 길이
등록 길이란 법규에 따른 세금과 수수료를 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길이를 의미합니다. 영어로는 Register length라고 표현됩니다.
2. 선박의 주요 치수, 선폭
1) 전폭
전폭은 폭이 가장 넓은 부분에서 한쪽 끝 외판에서 반대쪽 끝 외판까지의 거리를 의미합니다. 영어로는 Breadth 또는 Extreme Breadth라고 표현됩니다.
2) 형폭
형폭은 폭이 가장 넓은 부분에서 한쪽 외판의 내면에서 반대쪽 끝 외판까지의 거리를 의미합니다. 영어로는 Moulded Breadth라고 표현됩니다.
* 전폭과 형폭은 선체 길이에 걸쳐 폭이 가장 넓은 곳에서 측정을 한다는 공통점이 있지만, 전폭은 선체의 외판의 바깥 부분이 기준이 되는 것이고, 형폭은 외판의 안쪽 부분이 기준이 되는 것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3) 등록폭
등록폭은 법규에 따른 세금과 수수료를 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폭을 의미합니다. 영어로는 Register Breadth라고 표현됩니다.
3. 선박의 주요 치수, 깊이와 흘수
1) 형 깊이
형 깊이는 용골의 상면에서부터 상갑판 상면과 선 측 외판이 만나는 점까지의 수직 거리를 의미합니다. 영어로는 Moulded Depth라고 표현됩니다.
2) 등록 깊이
등록 깊이는 등록 길이와 등록폭과 함께 사용되며, 대체적으로 형 깊이를 등록 깊이로 사용을 합니다.
3) 형 흘수
형 흘수는 용골의 상면에서 수면까지의 수직 거리를 의미합니다. 주로 만재흘수선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4) 용골 흘수
용골의 최하면에서부터 수면까지의 거리를 용골 흘수라고 합니다. 우리가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흘수를 의미합니다.
형 깊이와 등록 깊이를 따로 나뉘어 설명했는데, 이해만 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흘수에 대해서도 면접 대비나 공부하실 때 사용하고 평소에는 따로 구분을 하지 않으므로 이런 내용이 있구나 하고 이해해주시면 되겠습니다.
승선을 많이 하신분은 오랜만에 한번 정리하는 개념으로 가볍게 읽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그리고 승선을 앞두고 있는 실습항해사나 초임항해사는 승선전에 한번 익혀두면 좋은 개념으로 즐겁게 읽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오늘도 제 블로그에 찾아와주셔서 감사합니다. 항상 안전한 항해 하시길 바라겠습니다.
'배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량 톤수와 용적 톤수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2.06.18 |
---|---|
선박 개념 다지기, 선박 구조에 관한 용어 기초편! (0) | 2022.06.16 |
국제 해상 부표 방식의 방위 표지에 대하여! (0) | 2022.06.14 |
IALA 지역에 따른 측방표지의 구분 (0) | 2022.06.14 |
낮에 사용되는 주간표지와 음향표지의 종류 (0) | 2022.06.13 |
댓글